美 동남부·캐나다·멕시코 등 물류 인프라 확보 필요성반도체·2차전지 등 수출입 물류 공급 망 패턴 변화 전망
미국 도 널 드 트럼프 대통령 2기 집권 이후 미국 전체 항만을 대상으로 한 친환경 물류 인프라 사업은 철회될 가능성이 높아 신규 물류 인프라를 선제 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 상공회의소(대한 상의)가 발간한 '트럼프 집권 2기 물류 공급 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집권 2기 이후 물류 공급 망의 탈 중국 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글로벌 공급 망 거점으로 떠오르는 미국 동 남부 지역, 캐나다·멕시코 국경 지역 등을 중심으로 항만·터미널 등 물류 인프라를 선제 적으로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미국의 대중(對中) 무역 액이 2021년 6600억 달러에서 2023년 5800억 달러로 큰 폭 하락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3년 간 미국의 수입 액 연평균 증가율은 멕시코 7.5%, 중국 -5.4%로 미국 최대 수입 국이 중국(2023년 수입 액 4300억 달러)에서 멕시코(2023년 수입 액 4800억 달러)로 전환됐다.
대한 상의는 트럼프가 중국의 미국 관세 회피를 목적으로 한 멕시코 우 회 수출을 차단하기 위해 멕시코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를 공 약한 바 있지만 큰 기조는 탈 중국인 만큼 US MC A(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 협정)로 묶여있는 멕시코·캐나다, 한국·대만 등 기존 경제 동맹국 중심으로 물류 공급 망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집권 2기 이후 미국 물류 공급 망 재 편에 따른 물류 기업의 전략 방안으로는 먼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북미 공급 망에 새롭게 진입하는 아시아의 전략적 동맹국들이 한국 항만을 환 적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북미 시장에 특화된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현지 물류 서비스 수행 경험이 부족한 한국 물류 기업들이 새로운 물류 거점에 개별 기업 단위로 접근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물류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정보 공유 등을 통해 공생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제조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반도체 ·2차 전지 등 핵심 산업의 자국 내 산업화(공장 기지 화)가 진행되어 글로벌 수출입 물류 공급 망 패턴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한국의 소 부장(소재·부품·장비) 및 중간 재가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이동했던 것에서 앞으로 한국 중간 재가 곧바로 북미로 건너가 역내에서 가공·조립을 거쳐 최종 재가 되고, 미국 내에서 소비되거나 일부는 해외로 수출되는 물류 흐름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기업들의 물류 거점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 과제로는 물류 정책 통합 거 버 넌 스 구축 화 주·물류 상생 기반 마련 물류 공급 망 인프라 지원 등 3가지 과제를 제시했다.